검색
한국어
  •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Deutsch
  • Español
  • Français
  • Magyar
  • 日本語
  • 한국어
  • Монгол хэл
  • Âu Lạc
  • български
  • Bahasa Melayu
  • فارسی
  • Português
  • Română
  • Bahasa Indonesia
  • ไทย
  • العربية
  • Čeština
  • ਪੰਜਾਬੀ
  • Русский
  • తెలుగు లిపి
  • हिन्दी
  • Polski
  • Italiano
  • Wikang Tagalog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 기타
  • English
  • 正體中文
  • 简体中文
  • Deutsch
  • Español
  • Français
  • Magyar
  • 日本語
  • 한국어
  • Монгол хэл
  • Âu Lạc
  • български
  • Bahasa Melayu
  • فارسی
  • Português
  • Română
  • Bahasa Indonesia
  • ไทย
  • العربية
  • Čeština
  • ਪੰਜਾਬੀ
  • Русский
  • తెలుగు లిపి
  • हिन्दी
  • Polski
  • Italiano
  • Wikang Tagalog
  • Українська Мова
  • 기타
제목
내용
다음 동영상
 

촉귀르 데첸 링파(채식인) 대사의 가르침: 하나 됨의 지혜, 2부 중 2부

내용 요약
다운로드 Docx
더보기

오늘은 촉귀르 데첸‍ 링파(채식인) 스님의‍ 무종파주의에 대한‍ 강력한 조언을 소개합니다. 그는 편견이나 선호를‍ 통해 진리를 나누는 것은‍ 자신과 남에게 큰 해를‍ 끼친다고 경고합니다. 참된 수행은 종파를 초월하며, 모든 정통‍ 가르침의 화합을 기립니다. 명상에 대한 그의‍ 조언으로 마무리하며, 규율을 따르는 공부와 성찰이 깊은 깨달음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것을 상기하고자 합니다.

무종파주의에 대한 조언

내 보물 중 하나인‍ 소원성취(삼파 륜드룹)에‍ 대한 예언적 지침은 이렇게 말한다: 자신의 개인적인 좋고‍ 싫음에 대해 말하면서, 그들은 「우디야나의‍ 말」이라며 수많은‍ 개념을 포장한다. 거짓 예언으로 만들어진‍ 예측에 근거하여, 자화자찬하는 태도로‍ 다른 이를 헐뜯으며, 하나의 진리 공동체를‍ 여러 조각으로 나눈다. 이런 상황에서는 공부와 수행이‍ 산산조각이 난다. 진리를 버리는 이 죄 많은 업보를 통해‍ 자신과 남, 가르침과 중생에게‍ 큰 해를 입힌다. 그러므로 사이비를‍ 따르지 마라: 이것이‍ 나의 진심 어린 조언이다. […]

따라서 스스로 잘되기를 바라는 자는‍ 이미 지은 진리를 저버린 업을 참회하고 고백해야 한다. 그들은 지금부터‍ 생명을 걸고라도 그것을‍ 경계하고 삼가겠다고‍ 맹세해야 한다. […]

따라서 승리자의 가르침에‍ 들어선 자들은‍ 윤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소망으로 진리의 문으로‍ 들어서야 한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신의 평화와 행복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중생의 이로움을 위해 깨달음을 얻겠다는‍ 크나큰 결심을‍ 해야 한다. 그 후에는 세 종류의 서원을‍ 엄격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최고의 학자 바수반두‍ 존자께서 말했듯이‍ 명상을 위해 규율 있는 공부와 관조로‍ 제대로 준비해야 한다. 이것을 이해해야 한다. 세상에 널리 알려진‍ 감뽀파 존자께서 말했듯이‍ 초심자들은 듣기와‍ 관조, 명상에 힘쓰고‍ 안정된 후에는‍ 꾸준히 수행해야 한다. […]

촉귀르 링파의‍ 명상에 대한 조언‍

잘 수행하려면 확고한‍ 출가가 필요하다. 즉,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열망이다.

귀의는 법의 근본이다. 스승과 삼보에‍ 자신을 온전히 맡기고‍ 순종해야 한다.

위없는 깨달음을‍ 얻는 원인으로서, 최고의 깨달음을 향한‍ 마음인 보리심을 일으켜‍ 오직 중생의 이로움을 위해 수행하라.‍ 이것은 참으로 심오하다.

마음의 본성 안에서‍ 집착 없이 머무르라.‍ 꾸밈없는 무위의 본성을 깨달아야‍ 명상이라고 할 수 있다.

생각의 움직임을‍ 억누르거나 뒤쫓는 것은 무익한 고집이며, 최악의 명상이다. 집착과 애착이 줄어드는‍ 것은 깨달음의 표식이다.

넓고 순수한 인식은 깨달음의 표식이다. 큰 자비는‍ 깨달음의 표식이다. 인과관계에 세심하게 주의하는 것은 깨달음의 표식이다. 그 반대는 깨닫지‍ 못했다는 표식이다. 사랑하는 이여, 이것을 마음에 새겨라.‍

더보기
모든 에피소드 (2/2)
더보기
최신 영상
주목할 뉴스
2025-09-16
477 조회수
주목할 뉴스
2025-09-16
6136 조회수
스승과 제자 사이
2025-09-16
420 조회수
주목할 뉴스
2025-09-15
641 조회수
주목할 뉴스
2025-09-15
612 조회수
33:56

주목할 뉴스

56 조회수
주목할 뉴스
2025-09-15
56 조회수
사랑스런 삶의 터전: 지구
2025-09-15
49 조회수
스승과 제자 사이
2025-09-15
742 조회수
공유
공유하기
퍼가기
시작 시간
다운로드
모바일
모바일
아이폰
안드로이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GO
GO
Prompt
OK
QR코드를 스캔하세요 ,
또는 다운로드할 스마트폰 운영체제를 선택하세요
아이폰
안드로이드